Total 7
한 눈에 보는 로컬푸드 브랜드 이야기
2025-11-07
"깊고 깔끔한 서울식 금천마을장 오미원" 브랜드 스토리
금천에서도 모두를 위한 건강한 로컬푸드를 먹을 수 없을까?
서울은 서울의 하늘과 땅, 바람이 있고
금천은 금천만의 하늘과 땅, 바람이 있습니다.
이곳에도 주민들과 나눌 건강한 먹거리를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남쪽의 물산이 금천으로 와 서울식 먹거리가 되듯
농촌의 좋은 메주를 금천에서 깊고 깔끔한 맛을 내는 서울식 장(醬)을 담갔습니다.
금천의 장독대에서 익어가는 장(醬)에는 자연의 흐름과 함께
금천이, 금천 사람들이 늘 건강했으면 좋겠다는 바램이 담겨있고
맛있게 먹고 난 후의 기쁨도 담겨있습니다.
깊은 맛과 깔끔한 맛이 어울리는 장맛이 다양한 사람들이 더불어 사는 금천과 닮았습니다.
지역의 좋은 재료로 금천에서 담아 금천에서 소비하는
[서울형 로컬푸드] 금천에서 처음 시작합니다.
2025-10-14
금천마을된장 오미원의 탄생과정 영상
"깊고 깔끔한 서울식 금천마을장 오미원" 탄생 과정
2025-10-14
드디오 로컬푸드 공개되다!
올해 초 찬바람이 불던 어느 날
금천 사람들이 모여 금천구 하늘 아래에서 로컬푸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7개월....
아직 장맛이 무르익기에는 이른 시기이지만
그간 주민들이 정성들여 관리하고 만들어낸
금천형 로컬푸드 브랜드를 공개했습니다.
2025. 9. 22. 공동체경제통합지원센터 1층에는 유관기관 및 주민 50여명이 모인 자리에서
금천형 로컬푸드 "금천마을된장 오미원" 이 공개되었습니다.
금천형 로컬푸드 쇼케이스는
1. 로컬푸드 브랜드 공개 퍼포먼스
2. 금천구 유성훈 구청장의 "금천장독대의 시작, 현재 그리고 미래" 발표
3. 로컬브랜드 기획자 이무열 대표의 "서울형 로컬푸드 금천구 오미원 브랜드 개발 스토리"
4. 전통 장류의 오해와 진실 "OX퀴즈"
5. 금천구공동체경제통합지원센터 유창원 센터장의 "2026년 로컬푸드 금천마을장 오미원 사업계획"
6. 우리 맛을 찾아라 "금천장 블라인드 테스트"
7. 우리 장으로 만든 음식 즐기기
<기름고추장 떡볶이>
<된장페스토>
이 날 함께한 주민들은 내년 판매예정인 서울식 로컬푸드 "금천마을된장 오미원"을
눈과 귀, 입으로 즐기며 앞으로의 금천형 로컬푸드의 성장과 공동체를 응원했습니다.
2025-10-14
장 담그기의 꽃! 장 가르기 하는 날~~~~
장 담그고 42일이 지났습니다.
장은 정월 즈음에 담가서 40~60일 사이에 장가르기를 한다고 합니다.
장가르기란 물에 불려진 메주와 장물을 분리하는 작업인데요.
건져낸 메주가 된장이 되는 것이고, 거른 장물이 간장이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가르기 한 된장과 간장은 다시 뜨거운 햇빛과 장마를 견디며
10월 즈음까지 숙성기간을 가지게 됩니다.
<장 가르기 사전준비, 메주 건져내기>
<건져낸 메주는 장물을 부어가며 으깨주기, 팔이 떨어져 나가기 전까지...>
<찰박찰박해진 된장은 다시 항아리 속으로>
<항아리 가득 된장과 간장>
2025-06-17
익어가는 장맛!
금천 로컬푸드는 주민의 손에서 시작해서
주민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공동체의 결정체.
그 맛을 지키기 위해 항아리를 닦을 때마다
빌고 또 빌어봅니다.
맛있어져라...맛있어져라...
2 days
7days
8days
10days
12days
2025-06-13
로컬푸드 시작을 알리다
2025년 2월 26일
햇살 좋은 초봄 어느날...
로컬푸드 개발 시범사범이 시작되었다.
주민 6명으로 구성된 활동가는 전통장에 대한 교육을 받고
센터 옥상에서 장담그기 활동을 진행했다.
서울형 로컬푸드는 이렇게 탄생되었다.
한마음 한뜻으로 건강하고 맛있는 금천의 장이 익어가기를 빌며...
2025-05-16